[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내가 사랑하는 아이] 7. 잠 늦잠을 잤다. 알림소리를 잠결에 두 차례 들었는데 끄고 다시 잤다. 깨어나니 여덟 시쯤 되었다. 눈이 뻑뻑하여 거울을 보니 퉁퉁 부었다. 나이가 들수록 눈꺼풀이 밉게 바뀐다. 잠을 푹 자면 붓고 덜자면 깊은 주름이 드러나고 눈도 뒤통수로 당겨 움푹하다. 어떤 사람들은 아무리 늦게 자도 새벽 네 시나 다섯 시만 되면 깨는 몸이라는데, 나는 여섯 시간이나 일곱 시간은 자야만 하루를 버틴다. 자다 깨면 다시 잠들기까지 한두 시간 걸리고 곁님이 뿜는 큰 숨소리하고 입을 쩝쩝 다시는 소리에 쉽게 깬다. 잠귀가 밝다. 셋째가 태어나고 열 살까지 같이 잤다. 열 해를 두 남자 사이를 오가며 자느라 잠이 모자랐다. 아들은 아무리 꾸지람해도 못 고쳤다. 잠들었는가 싶어 슬그머니 나오면 바로 안다. 다시 곁에 가서 재운다. 이런 일이 잦아 큰방으로 건너와도 내 귀는 아들 방에 두고 아들은 내 발끝에 둔다, 둘 다 잠귀가 밝다. 갓난아기 때는 아기라서 그렇다지만 일곱 살이 넘어서도 같이 자고 열 살까지 이어졌다. 내 가슴팍에 헐렁하게 안기거나 맨손이 제 몸에 닿아야 포근하게 잤다. 나는 말할 때 뜸을 안 들고 바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7. 쉬운 말은 쉽게 써야 아름다워요 ‘일거양득(一擧兩得)’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한 가지를 해서 두 가지로 좋다고 할 적에 씁니다. 두 가지로 좋은 일을 가리키면서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고도 해요. 하나만 좋지 않고 하나를 더 얻기에 ‘덤’이라는 말도 써요. 두 가지로 좋을 적에는 ‘더’ 좋은 셈이니 “더 좋다”고 쉽게 말할 만합니다. ‘만고불변(萬古不變)’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오랫동안 안 바뀐다고 할 적에 씁닏다. 오랫동안 안 바뀌니 “오랫동안 안 바뀐다”고 할 만하며, ‘한결같다’고 할 만하지요. “늘 그대로”라든지 “언제나 그대로”라고 할 수 있어요. ‘사시청청(四時靑靑)’이라는 글을 쓰는 분이 있어요. 말뜻은 “네 철 푸르다”예요. 이 말뜻처럼 누구한테나 쉽게 “네 철 푸름”처럼 쓸 수 있고, ‘늘푸른나무’라는 이름에서 보기를 얻어 ‘늘푸르다’처럼 새롭게 우리말을 지을 만해요. 어느 말을 골라서 쓰느냐는 어느 생각을 마음에 품느냐라 할 만합니다. 어떤 말을 가려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내가 사랑하는 아이] 6. 이불 말린 이불을 꺼내려고 뚜껑을 연다. 뺨에 뜨거운 기운이 부딪치며 한 김 빠진다. 따뜻한 이불을 꺼내 가슴에 꼭 안으니 새물내가 풍긴다. 이불이 뺨에 닿으니 부드럽고 뽀송뽀송하다. 큰방하고 작은방을 다니며 침대에 올린다. 얇은 이불을 깔고 덮을 이불을 가지런히 놓는다. 밖에 걸어 둘 틈도 없이 말라 일손 하나를 덜어 준다. 바깥바람이 차갑고 이불 밑에 불을 넣어도 발이 자꾸 바싹 마른다. 곁님 발뒤꿈치 껍질이 하얗게 일어난단다. 이불에 부스러기가 떨어진 듯하니 이불을 털자고 했다. 걷으려는 이불을 놔두라 하고 그대로 말아서 돌린다. 새집에 들어오기 앞서는 이불 하나 말리려면 이곳저곳 닥치는 대로 보이는 대로 얹고 걸쳤다. 새집에 들어오니 두레벗(조합원)이라고 이백만 원 하는 세탁기 닮은 건조기 한 대를 거저로 받았다. 빨래가 끝나면 꺼내어 옆에 옮겨 단추를 누른다. 꾸물거리다 보면 어느새 다 마른다. 일 마치고 와서 저녁에 빨아도 잠잘 때는 덮는다. 스무 해 서른 해 앞서 아이들을 키울 때 샀더라면 얼마나 수월했을까. 셋째 키울 적에는 이불을 자주 빨았다. 날마다 오줌을 싸서 옷하고 이불만 빨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쇠날 이레말 [삶말/사자성어] 남부여대 남부여대의 피난민 행렬은 → 이고 지며 떠나는 줄은 남부여대하고 고향을 떠나는 이가 많았었다 → 짊어지고 텃마을을 떠나는 이가 많다 점차로 남부여대(男負女戴)하고 → 차츰 바리바리 이고 남부여대(男負女戴) :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문으로 엮은 ‘남부여대’는 “사내는 지고 가시내는 인다”는 뜻입니다만, 우리말로 옮기자면 “이고 지다”로 넉넉해요. ‘짊어지다’라 해도 되고, ‘바리바리·잔뜩’을 알맞게 넣어서 풀어낼 만합니다. 조국에서는 도저히 살아갈 방도가 없어 이국 땅으로 남부여대하여 줄줄이 이주한다 → 이 나라에서는 영 살아갈 길이 없이 낯선 땅으로 바리바리 줄줄이 떠난다 → 이곳에서는 도무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내가 사랑하는 아이] 5. 물렁팥죽 첫째한테 안경을 언제 꼈는지 묻다가 두 동생 일도 물었다. 날이 추워서 그러나, 돌아오는 말이 쌀쌀맞다. “엄마가 떠올려야 할 걸 나한테 묻지 마.” “…….” 뾰족한 날에 베인 듯 아린 금 하나가 가슴을 타고 밑으로 살짝 스친다. 내가 어릴 때 우리엄마가 부지깽이 들고 때리러 올 적보다 더 아프다. 둘째하고 셋째는 생각나면 생각나는 대로 모르면 모르는 대로 물음에 애써 글을 준다. 조금 앞서도 앞머리를 내릴까 말까 머리 손질 어떻게 하면 좋겠는지 묻더니, 맞춤 때라 바빠서 그랬을까. 한마디 말에 왜 이렇게 기운이 다 빠지는지. 일이 손에 안 잡힌다. 어린 날에 둘째도 이런 마음이었을까. 여느 때보다 일을 일찍 마무리하고 백 킬로미터로 밟으며 작은딸 집에 갔다. 바쁘게 사느라 사진첩을 두고 온 일도 잊었다. 어느덧 여덟 해가 지나고 이제야 챙긴다. 마당에 들어서서 작은딸한테 비밀번호를 물으며 계단을 오른다. 땡 소리 나고 12층 문이 열린다. 길이 길다. 5.3.2호를 지나 문을 열려다 멈춘다. 한때 아이 달랜다고 내 집처럼 드나들던 비상구를 연다. 시내가 한눈에 들어오고 군데군데 있던 낡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말. 털털하다 누구나 글을 쓴 지는 얼마 안 됩니다. 이제는 누구나 책을 쓸 뿐 아니라, 누구나 새뜸(신문)을 선보일 수 있는 때를 맞이합니다. 참으로 멋진 삶이지요. 예전에는 힘있고 돈있고 이름있는 이들이 차지하던 글살림인데, 이제는 투박하거나 털털하거나 수수하게 살림을 짓는 사람들 누구나 스스로 삶을 쓸 수 있어요. 누구라도 삶을 옮겨서 하루를 쓰면 됩니다. 이야기는 멀리 있지 않아요. 모든 얘기는 곁에 있습니다. 우리 자리에서 찾고, 둘레에서 느끼며, 흔하거나 자잘하다 싶은 모든 가벼운 삶길이야말로 삶글이 되고 삶노래나 삶얘기가 됩니다. 글에 걸맞을 글은 따로 없습니다. 책에 알맞을 책도 딱히 없어요. 사랑을 담아서 쓰면 모두 사랑스러운 글입니다. 삶을 실어서 쓰면 모두 아름다운 책입니다. 딱딱 맞아떨어져야 한다거나 이런저런 틀을 따라야 하지 않아요. 솜씨를 부릴 글이 아닌, 삶을 적을 글인걸요. 재주를 부릴 책이 아니라, 우리 나름대로 짓는 사랑스러운 살림길에 어울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락가락 국어사전’은 국어사전이란 이름으로 나오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낱말풀이를 살피면서 잘못되거나 엉뚱하거나 뒤틀리거나 엉성하구나 싶은 대목을 하나하나 짚으면서, 앞으로 어떻게 추스르거나 바로잡거나 고쳐야 우리말꽃을 살찌울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꼭지입니다. 말을 새롭게 살릴 낱말책 [오락가락 국어사전 3] ‘손매’를 북돋아 ‘살림맛’ 키우는 ‘단말’ 말을 살리는 길이란 어렵게 여기면 어렵지만, 쉽게 여기면 쉽습니다. 소꿉놀이를 하듯이 소꿉말부터 찬찬히 살펴서 하나씩 가꾸는 말맛을 북돋우면 되어요. ‘맛매’라는 낱말이 먹을거리에서 누리는 맛뿐 아니라 사람 됨됨이를 나타내는 자리로도 말결을 넓힐 수 있듯이, 차근차근 말맛을 살리면 좋겠습니다. 이러한 맛을 잘 살리면 살림살이에서는 살림맛이 나고, 사랑하는 사이에서는 사랑맛이 피겠지요. 맛매 : = 풍미(風味) 풍미(風味) : 1. 음식의 고상한 맛 ≒ 맛매 2. 멋지고 아름다운 사람 됨됨이 ‘맛매’라는 낱말을 잘 살리도록 뜻풀이를 손질해야겠습니다. ‘풍미 → 맛매’처럼 다루고, ‘맛매’에 뜻풀이를 붙일 뿐 아니라, 이러한 낱말을 바탕으로 새 낱말을 짓는 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한겨레 우리말’은 우리가 늘 쓰면서 막상 제대로 헤아리지 않거나 못하는 말밑을 찬찬히 읽어내면서, 한결 즐거이 말빛을 가꾸도록 북돋우려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우리 말밑을 우리 삶터에서 찾아내어 함께 빛내려는 이야기입니다. 한겨레 우리말 ― 알맹이를 알아서 아름답네 아 다르고 어 다른 말이라 했습니다. 틀림없이 ‘아’랑 ‘어’는 다릅니다. 그러나 둘은 비슷하지요. 참으로 비슷하지만 달라요. 다시 말하자면, ‘비슷하다 = 같아 보이지만 다르다’는 뜻이라고 할 만합니다. 아버지하고 어머니는 달라요. 그렇지만 둘은 어버이로서는 같습니다. 같은 어버이로되, ‘아’버지하고 ‘어’머니로 달라요. ‘알’이란 무엇인가 하고 헤아리면, 아 다르고 어 다른 말씨인 ‘얼’부터 생각할 만해요. 알하고 얼은 다르지만 닮은 대목이 있어요. 다시 말하자면 ‘다르’기 때문에 ‘닮’아요. ‘같다’고 할 적에는 다를 수도 없지만, 닮지도 않습니다. 곰곰이 보면 ‘알’은 목숨입니다. 숨결이지요. 또는 목숨이나 숨결이 태어나서 자라는 바탕입니다. 무엇보다도 이 모두를 아우르는 알이에요. 얼도 이러한 느낌을 고루 담으니 비슷하지만 달라요. 얼빠지거나 얼나간 사람이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내가 사랑하는 아이] 4. 배꼽 서랍을 뒤지다가 주머니 하나 집어든다. 안이 훤히 보이는 봉지에 배꼽이 들었다. 하늘빛 집게에 꽉 물렸다. 내 몸에서 떨어진 끄트머리 쪽은 마른오징어처럼 누렇고 작다. 아기 몸에서 떨어진 배꼽줄은 까만빛이 감돌고 반질반질한 돌빛이 돌고 더 크다. 아무것도 없는 배꼽줄은 푸르스름하다. 아들이 태어나고 열 해 동안 내가 지니다가 따로 방이 생기고 책상을 들인 열 살 때 넣어 건네준 배꼽이다. 아들이 우리에게 찾아오기 앞서는 두 딸만 바라보고 키우려고 했다. 곁님도 나도 둘레에 아들 있는 벗이 부러웠지만, 배를 두 번이나 갈랐으니 꿈도 꾸지 않았다. 해를 거듭할수록 마음이 슬슬 바뀌었다. 일터에 잦게 찾아오는 쉰 살쯤에 이른 아줌마가 다가와서 말했다. “거기 앉아서 돈 몇 푼 버는 일보다 집안을 이어주는 일이 먼저다.” 아흔쯤 보이는 할아버지도 늘 같은 말을 했다. 하얀 수염에 삿갓을 쓰고 모시옷을 입었다. 지팡이를 바르르 떨면서 몸을 곧추세우고 다가왔다. “새벽 3시에 아들 만들고 오른쪽으로 내려오라”느니, “술을 한 잔 마시고 하라”느니, 바로보기 부끄러울 만큼 아들 낳는 낯뜨거운 이야기를 들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6. 우리는 우리말을 어떻게 배울까 ‘두껍다’하고 ‘두텁다’는 비슷한 듯하지만 다른 낱말입니다. 두께나 켜를 가리킬 적에는 ‘두껍다’를 쓰고, 마음이나 사랑이나 믿음을 가리킬 적에는 ‘두텁다’를 써요. 종이는 두껍고, 믿음은 두텁습니다. 책이 두껍고, 둘 사이가 두텁습니다. ‘두껍다’하고 비슷하게 ‘두툼하다·도톰하다’를 써요. ‘두텁다’가 큰말이라면 ‘도탑다’는 여린말이 될 테고요. ‘두껍다·두툼하다·도톰하다’는 눈으로 볼 수 있는 두께나 켜를 가리킬 적에 쓰고, ‘두텁다·도탑다’는 눈으로 볼 수 없는 마음이나 숨결이나 사랑이나 느낌을 나타낼 적에 써요. 어린이한테 이 낱말을 가르치기는 쉬울까요 어려울까요? 어쩌면 어려울 수 있어요. 어른 가운데 ‘두껍다·두텁다’를 헷갈리며 잘못 쓰는 분이 꽤 많거든요. 그러나 ‘두껍다·두텁다’를 잘 가누거나 살피는 어른도 많아요. 어릴 적부터 둘레 어른한테서 제대로 배워 슬기롭게 쓸 줄 안다면 잘못 쓰는 일이 없어요. ‘구제불능’이라는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