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ㄱ 축에 속하다 지식인 축에 속하는 → 글물 축인 → 먹물에 드는 → 글바치인 축 : 일정한 특성에 따라 나누어지는 부류 속하다(屬-) : 관계되어 딸리다 우리말 ‘축’을 낱말책에서 살피면 ‘부류’로 풀이하는데, 다른 한자말로는 ‘소속·속하다’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기글처럼 “(무슨) 축에 속하는”이라 하면 겹말이에요. “(무슨) 축인”으로 끊을 노릇입니다. 또는 ‘들다’란 우리말을 쓸 만하고, ‘-인’ 같은 토씨만 붙여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그 연배에서는 지식인 축에 속하는 사람이었습니다 → 그 나이에서는 글물 축인 사람이었습니다 → 그 또래에서는 먹물에 드는 사람이었습니다 → 그 둘레에서는 글바치인 사람이었습니다 《재일의 틈새에서》(김시종/윤여일 옮김, 돌베개, 2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ㄱ 일필휘지로 단숨에 일필휘지로 단숨에 → 한숨에 → 곧장 → 내리 일필휘지(一筆揮之) : 글씨를 단숨에 죽 내리 씀 내리쓰다 : 위에서 아래쪽으로 글을 쓰다 단숨에(單-) : 쉬지 아니하고 곧장 ≒ 단걸음에 말을 하거나 글을 쓸 적에 멋을 부리면서 겹말이 불거지기 일쑤입니다. 우리말로 쉽게 하는 말이라면 겹말은 없어요. 우리말을 누구나 쉽게 알아보도록 쓰는 글에도 겹말은 없습니다. 보기글은 “감이 와닿는”부터 겹말이고, “일필휘지로 단숨에”도 겹말입니다. ‘일필휘지’는 ‘내리쓰다 = 한숨에 쓰다’를 가리키는데, ‘원고·완성시키다’라는 한자말도 ‘쓰다’하고 맞물려요. 와닿을 적에는 거침없이 쓴다는 이야기라면, “와닿으면 내리셨지만”이나 “와닿으면 곧장 썼지만”으로 아주 쉽고 가볍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풀칠 검사 통과 합격 풀칠(-漆) : 1. 종이 따위를 붙이려고 무엇에 풀을 바르는 일 2. 겨우 끼니를 이어 가는 일 ≒ 풀질 검사(檢査) : 사실이나 일의 상태 또는 물질의 구성 성분 따위를 조사하여 옳고 그름과 낫고 못함을 판단하는 일 통과(通過) : 1. 어떤 곳이나 때를 거쳐서 지나감 2. 멈추었다가 가도록 예정된 곳을 그냥 지나침 3. 검사, 시험, 심의 따위에서 해당 기준이나 조건에 맞아 인정되거나 합격함 4. 제출된 의안이나 청원 따위가 담당 기관이나 회의에서 승인되거나 가결됨 5. 장애물이나 난관 따위를 뚫고 지나감 합격(合格) : 1. 시험, 검사, 심사 따위에서 일정한 조건을 갖추어 어떠한 자격이나 지위 따위를 얻음 2. 어떤 조건이나 격식에 맞음 우리말을 담는 그릇인 한글입니다. 한글은 무슨 소리이든 담습니다. 새나 개구리가 들려주는 노래도, 바람하고 바다가 베푸는 노래도 담고, 이웃나라 말도 담습니다. 한글로 적어 놓기에 우리말이지 않습니다. 우리 삶을 우리 스스로 살펴서 우리 숨결을 담아서 여밀 적에 우리말입니다. 보기글처럼 ‘풀칠 + 검사 + 통과 + 합격’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펼쳐지고 푸르러지고 우리는 ‘-지다’를 잘 안 씁니다. ‘사라지다·없어지다’나 ‘누그러지다·미어지다’처럼 쓰기도 하지만, 이 보기글처럼 ‘펼쳐지다’나 ‘푸르러지고’처럼 쓰지는 않아요. 우리말씨는 워낙 이렇습니다. 그래서 “휜 허리는 곧고”나 “흰 머리카락은 푸르고”로 손질합니다. 때로는 ‘휜’이나 ‘흰’을 아예 덜어냅니다. 이 보기글은 말놀이처럼 ‘휜·흰’을 넣었구나 싶습니다만, 말씨를 망가뜨리는 얼거리라면 말놀이가 아닌 말장난이나 말치레입니다. “이제 허리는 펴고”로 앞자락을 열고서, “어느새 머리카락은 푸르고”처럼 뒷자락을 이을 수 있어요. 앞에만 ‘이제’를 넣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휜 허리는 곧게 펼쳐지고, 흰 머리카락은 푸르러지고 → 휜 허리는 곧고, 흰 머리카락은 푸르고 → 이제 허리는 펴고, 머리카락은 푸르고 《노래는 최선을 다해 곡선이다》(함민복, 문학동네, 2019) 20쪽 ㄴ. 사소한 낱말들 실은 지탱 -들의 ㅁ 확인 사소하다(些少-) : 보잘것없이 작거나 적다 실은(實-) : 실제로는. 또는 사실대로 말하자면 지탱(支撑) : 오래 버티거나 배겨 냄 ≒ 탱지 확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천성이라는 것 갖고 있다 천성(天性) : 본래 타고난 성격이나 성품 ≒ 자성·천골 타고난다고 할 적에는 ‘타고나다’라 합니다. 타고나기에 ‘내림·내리다’나 ‘물림·물리다’라 해요. 이때에는 ‘밑·밑동’이 어릴 적부터 고스란하다는 뜻입니다. 일본말을 옮김말씨로 잘못 옮긴 보기글입니다. “무엇이 있지”로 고쳐쓸 얼거리인데, “타고난 버릇이 있지”나 “물려받은 매무새이지”보다는 “내림이지”나 “내려받았지”나 “타고났지”처럼 단출히 고쳐씁니다. ㅅㄴㄹ 천성이라는 것을 갖고 있지 → 내림이지 → 밑동이 있지 → 타고났지 《YAWARA!(야와라) 9》(우리사와 나오키/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0) 110쪽 ㄴ. 소망의 크고 작음 분별 것 자체 불가능 소망(所望) : 어떤 일을 바람. 또는 그 바라는 것 분별(分別) : 1. 서로 다른 일이나 사물을 구별하여 가름 2. 세상 물정에 대한 바른 생각이나 판단 ≒ 분변(分辨) 3. 어떤 일에 대하여 배려하여 마련함 4. [화학]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섞여 있는 혼합물을 물리적·화학적 성질의 차이를 이용하여 차례차례 단계적으로 분리함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저자의 著者 저자의 분신과 같은 책에 → 글님과 한몸 같은 책에 저자의 서명이 들어갔다 → 지은이 이름이 들어갔다 저자의 능력을 의심하지 않았다 → 붓님 솜씨를 믿었다 ‘저자(著者)’는 “글로 써서 책을 지어 낸 사람”이라고 해요. ‘저자 + 의’ 얼개라면, ‘-의’를 털면서 ‘글쓴이·글꾼·글보·글님·글바치·글지기’나 ‘지은이·지음이’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쓰는이’나 ‘글그림’이나 ‘붓잡이·붓바치·붓꾼·붓님’으로 고쳐써도 되어요. ㅅㄴㄹ 흥미로운 것은 대개의 낙서들이 ‘익명성’을 담보로 종횡무진 ‘육담’을 풀어놓고 있는 것과 달리, 이 ‘낙서-시’에는 저자의 ‘서명’이 뚜렷이 적혀 있다는 것이다 → 재미있다면 웬만한 글장난이 ‘이름을 숨기’면서 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영혼 사자의 영혼을 정화하다 → 죽은이 넋을 다독이다 할머니의 영혼을 보았다 → 할머니 넋을 보았다 ‘영혼(靈魂)’은 “1. 죽은 사람의 넋 2. 육체에 깃들어 마음의 작용을 맡고 생명을 부여한다고 여겨지는 비물질적 실체”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영혼’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넋·얼’이나 ‘숨·숨결’이나 ‘빛’으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그 목적은 잠시나마 사람의 영혼을 가두어 두기 위함이다 → 한동안이나마 사람들 넋을 가두어 두려는 뜻이다 → 조금이나마 사람들 숨결을 가두어 두려고 한다 《아나스타시아 5 우리는 누구?》(블라지미르 메그레/한병석 옮김, 한글샘, 2010) 10쪽 모든 사람의 영혼은 신성해서 우주의 근원과 맞닿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관심 너의 관심이 필요했어 → 네가 마음쓰기를 바랐어 / 네가 보기를 바랐어 누구의 관심도 원하지 않는다 → 누구도 보기를 바라지 않는다 아버지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서 → 아버지 눈길을 한몸에 받고서 ‘관심(關心)’은 “어떤 것에 마음이 끌려 주의를 기울임. 또는 그런 마음이나 주의 ≒ 관념(關念)”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관심’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눈·눈귀·귀·손길’이나 ‘눈결·눈꽃·눈귀·눈길·눈망울’로 고쳐씁니다. “눈길을 모으다·눈길을 받다·눈길을 끌다·눈길이 쏠리다”나 “눈길이 가다·눈이 가다·눈을 반짝이다·눈이 번쩍하다”로 고쳐써도 됩니다. ‘눈담다·눈여겨보다·눈돌리다’나 ‘듣다·귀담아듣다·귀여겨듣다·귀를 기울이다’나 ‘보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영어 손질 ㄱ. 스테디셀러steady seller 스테디셀러(steady seller) : 오랜 기간에 걸쳐 꾸준히 잘 팔리는 책 steady seller : 스테디셀러. 오랜 기간에 걸쳐 꾸준히 잘 팔리는 책 ステディ-セラ-(steady seller) : 스테디셀러 꾸준하게 읽히거나 팔린다면 ‘꾸준책·꾸준하다’라 하면 됩니다. 오래도록 읽히거나 팔리는 셈이니 ‘오래책·오랜책’이라 할 수 있어요. 즈믄해를 이을 만하다고 여긴다면 ‘즈믄책’이라 해도 될 테고요. ㅅㄴㄹ 최근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은 《초역 니체의 말》 같은 ‘초역 시리즈’도 마찬가지입니다 → 요새 꾸준히 자리잡은 《간추린 니체 말》 같은 ‘간추린 꾸러미’도 마찬가지입니다 → 요새 오래책으로 자리잡은 《추림 니체 말》 같은 ‘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영어 손질 ㄱ. 앨라이ally 앨라이 : x ally : 1. 동맹국 2. (특히 정치적) 협력자 3. (특히 전쟁이나 불화에서 …을) 지지하다[편들다] アライ(ally) : 1. 얼라이 2. 동맹. 동맹자. 동맹국. 동맹하다. 결연(結緣)하다 ‘ally’는 영어입니다. 영어를 쓰는 나라에 간다면 이 낱말을 쓸 일이되, 우리나라에서는 우리말로 옮기거나 풀거나 새말을 지을 노릇입니다. ‘같이가다·같이하다·함께가다·함께하다’나 ‘곁나라·옆나라’로 풀고, ‘곁사람·곁일꾼·곁잡이·곁꾼·곁지기·옆사람·옆지기’나 ‘동무·동무하다·동무나라·어깨동무·어깨나라’로 풀 만합니다. ‘띠앗’으로 풀어도 어울리고, ‘맞잡다·마주잡다·손잡다·뭉치다’나 ‘벗·벗님·벗하다·벗나라·벗삼다’로 풀 수 있어요. ㅅㄴㄹ 커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