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71] 우산 우리 집 문앞에 우산이 한 보따리 있다. 이렇게 많이 있었나. 아이들이 예전에 쓰던 우산을 다 들고 왔나. 그저 웃으며 집으로 들어와서 묵은 짐을 치운다. 이제 버리기만 하면 끝난다. 버릴 살림으로는 옷이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우산 같다. 신발장 손잡이에 우산 또 둘 걸렸다. 이 가운데 말끔한 우산은 따로 꾸려 놓는다. 그런데 우산이 또 셋이 더 나온다. 신발장에 또 하나 나온다. 잔뜩 나온 우산을 들고 나와서 버리자니 경비 아저씨들도 놀란다. “아저씨, 우산이 좀 많죠? 못 쓰는 건 버리지만, 쓸 수 있는 우산은 저기 앞에 두셔서 비 오는 날에 우산 없어서 비 맞는 사람이 있으면 나눠 주세요.” 우산을 버리려고 비닐을 벗기고 살만 모은다. 큰 뭉치로 나오는 우산살을 보니 어쩐지 낯이 뜨겁다. 집에서 한 사람이 제금을 나는데 버리는 것이 너무 많다. 우리 딸은 우산을 왜 이리 많이 모았을까. 문득 밖에서 비를 만나 우산을 사기도 하고, 일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또 비를 만나 또 새로 우산을 사고 했을 테지. 이미 사 놓은 우산을 자꾸 잊으면서 또 사고 새로 산 탓이지. 나는 그동안 어떠했을까. 곁님은…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72] 안아 보자 작은딸네가 나를 바래다준다. 둘이서 창살문을 뒷자리에 싣는다. 함지박도 뒷자리에 싣고 닫는다. “엄마, 잘 가.” “장모님 조심히 들어가세요” ‘그래’ 하고 말하기에는 어딘지 모르게 싱겁다. “함 안아 보자.” 두 팔을 벌렸다. 둘을 품에 안았다. 왼팔은 새사람을 안고, 오른팔은 작은딸을 안는다. 딸이 아까부터 삐진 사람처럼 뾰로퉁하게 있더니 속으로 울었구나. 등을 토닥거리면서 우리 딸 눈을 보니 반짝인다. 눈물이 맺혔네. 콧소리를 내네. 쑥스러워 이런 모습 잘 드러내지 않던 아이인데, 울었네. 바라보는 나도 눈물이 차올랐다. 나무 사이로 불빛이 비친다. 딸 얼굴이 어릿거린다. 살짝 안았는데 꽤 길었다. 딸아이 잘 부탁한다고 말하고 또 말하려는데 저쪽에서 다른 차 한 대가 올라온다. 부르릉 하며 다른 차가 저쪽으로 들어가는 걸 보고 창문을 내린다. 이젠 헤어지네. 작은딸이 숨기려고 해도 눈물이 찬 얼굴은 티가 났다. 엄마는 알지. 손을 흔들었다. 엄마와 딸을 좁혀 주는 눈물 같다. 꾹 참는 마음은 훅훅 흐를 테지. 딸을 보니 가녀린 몸으로 일을 다니고 집안일을 하고 앞으로 스스로 삶에 풍덩 뛰어들어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하루 우리말 노래 우리말 새롭게 가꾸기 13. 얕바다 바다가 얕으니 ‘얕바다’이다. 바다가 깊으니 ‘깊바다’이다. 멀리 있는 바다이니 ‘먼바다’이고, 뭍은 하나도 안 보이도록 나간 바다이니 ‘난바다’이다. 뭍하고 가까이 있는 바다라면 ‘곁바다’이고, 짜디짠 소금으로 가득한 바다는 ‘소금바다’이다. 얕바다 : 얕은 바다. 뭍하고 가까이 있는 바다. 뭍하고 가까우면서 얕은 바다. (= 얕은바다·곁바다. ← 천해淺海, 연해沿海) 곁바다 : 곁에 있는 바다. 뭍하고 가까운 바다. 뭍하고 가깝기에 물이 얕을 수 있지만, 때로는 뭍하고 가까우면서도 꽤 깊을 수 있다. (= 얕바다·얕은바다. ← 연해沿海, 천해淺海) 14. 팔매금 돌을 던지는 팔짓을 ‘돌팔매’라 한다. ‘팔매’는 첫째, “작은 돌을 멀리 힘껏 던지는 일. 팔을 휘둘러서 멀리 힘껏 던지는 돌.”을 가리킨다. 돌을 던지면 하늘로 올랐다가 땅으로 떨어진다. 둥그스름하게 솟다가 내려가는 길은 물결을 닮는다. 팔매가 흐르는 듯이 금을 그어서 잇는다. 물결이 흐르는 듯이 줄을 쳐서 잇는다. 팔매금 (팔매 + 금) : 팔매를 이루는 금. 흐르거나 바뀌거나 움직이는 결·모습·값·셈을 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말빛 곁말 46 손빛책 누리책집 ‘알라딘’은 “알라딘 중고서점·중고샵”이란 이름을 퍼뜨렸습니다. 이곳에서는 ‘헌책’을 팔지만 정작 ‘헌책’이란 우리말을 안 쓰고 ‘중고서점’이란 일본 한자말을 쓰고, ‘중고샵’ 같은 범벅말(잡탕언어)을 씁니다. 왜 “알라딘 헌책집·헌책가게”처럼 수수하게 이름을 붙이려고 생각하지 못 할까요? 아무래도 ‘헌옷·헌책·헌집’이란 낱말에 깃든 ‘헌(헐다·허름)’이 어떤 말밑(어원)인지 모르기 때문일 테지요. ‘허허바다(← 망망대해)’란 오랜 우리말이 있어요. 웃음소리 가운데 ‘허허’가 있고, ‘헌걸차다’란 우리말도 있습니다. ‘허’는 ‘쓴·빈·없는’뿐 아니라 ‘너른·큰·하나인’을 나타내는 밑말(어근)이기도 한데, ‘하·허’로 맞물립니다. ‘하늘’을 가리키는 ‘하’나 ‘헌책’을 가리키는 ‘허’는 같은 말밑이요 밑말입니다. 사람 손길을 타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말빛 곁말 45 한누리 푸른배움터를 마치고 들어간 열린배움터(대학교)는 하나부터 열까지 못마땅했습니다. 하루하루 억지로 버티면서 책집마실로 마음을 달랬습니다. 3월부터 7월까지 꼬박꼬박 모든 이야기(강의)를 듣다가 8월부터는 도무지 못 견디겠어서 길잡이(교수)가 보는 앞에서 배움책을 소리나게 덮고 앞자리로 나가서 “이렇게 시시하게 가르치는 말은 더 못 듣겠다!” 하고 읊고서 미닫이를 쾅 소리나게 닫고서 나갔습니다. 어디에서든 스스로 배울 뿐인데, 배움터를 옮겼기에 달라질 일이 없습니다. 언제 스스로 터뜨려 박차고 일어나 마침종이(졸업장)를 벗어던지느냐일 뿐입니다. 길잡이다운 길잡이가 안 보이니, 스스로 길을 내는 이슬받이로 살아가기로 합니다. 배움책집(구내서점)하고 배움책숲(학교도서관)에서 일하는 틈틈이 책을 읽고,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일한 삯을 모아 헌책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푸른책 읽기 《제주도》 이즈미 세이치 김종철 옮김 여름언덕 2014.5.25. 《제주도 1935∼1965》(이즈미 세이치/김종철 옮김, 여름언덕, 2014)는 일본이웃이 우리나라 제주섬을 살핀 발자취를 서른 해를 틈을 두고서 갈무리하고서 여민 꾸러미입니다. 이제는 우리 손으로 우리 삶자취를 차곡차곡 여미는 사람이 부쩍 늘었으나, 아직도 우리 삶길보다는 이웃나라 삶길에 더 마음을 쏟는 얼개입니다. 지난날에도 우리 살림새를 우리 눈으로 바라보면서 우리 손으로 품는 일이 드물었고, 오늘날에도 우리 살림빛을 우리 숨결로 읽고 헤아리면서 우리 넋으로 다독이는 일은 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틀림없이 늘어납니다. 이웃나라에서 먼저 세우거나 마련한 틀에 맞추면, 이모저모 읽거나 헤아리기에 수월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웃나라 틀(이론·학문)은 이웃나라 삶·살림·사람을 살펴서 세운 틀이에요. 모든 나라는 다르기에 모든 나라는 저마다 저희 틀을 차근차근 세울 노릇이에요. 지난날에는 총칼을 앞세운 무리가 억지로 짓밟았기에 ‘우리 눈·넋·숨·말글’을 스스로 뒷전으로 내몰았다면, 오늘날에는 ‘우리 눈·넋·숨·말글’을 뜬금없이 ‘민족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푸른책 읽기 《고해정토苦海淨土, 나의 미나마타병》 이시무레 미치코 김경연 옮김 달팽이출판 2022.1.18. 《고해정토, 나의 미나마타병》(이시무레 미치코/김경연 옮김, 달팽이출판, 2022)은 책이름 그대로 미나마타 죽음앓이를 들려줍니다. ‘고해(苦海)’하고 ‘정토(淨土)’가 나란히 도사리는 마을로 내몬 죽음앓이(환경병)일 텐데, 고기잡이하고 논밭짓기로 살아오던 사람들은 하루아침에 사람·바다·땅·집·삶·꿈을 모조리 빼앗겼습니다. 이때에 나라(정부)하고 고을(미나마타 벼슬아치)은 뒷짐일 뿐이었고, 여러 글바치가 이 민낯을 다루었으나 숱한 글바치는 먼나라 일로 여겼습니다. 일본뿐 아니라 우리나라도 죽음앓이는 나몰라라이지요. 그런데 나라 탓만 하기는 어렵습니다. 길그림을 보면 미나마타는 매우 포근하고 아름다우며 고즈넉한 바닷마을입니다. 일본이란 나라는, 또 미나마타시라는 벼슬아치는, 포근하고 아름다우며 고즈넉한 바닷마을에 끔찍한 죽음터를 때려박았으며, 오늘날에도 이 죽음터는 고스란합니다. 빛(전기)은 시골이나 서울이나 다 씁니다만, 빛을 많이 쓰는 곳은 서울인데, 정작 서울에는 빛터(발전소)를 크게 세우지 않습니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70] 말 말을 보다가 ‘아, 칼 안 쓰는 날을 여쭈려고 했는데 깜빡했네.’ 하고 생각한다. 두 손을 모아 깍지를 끼며 손가락으로 손등을 힘껏 누르며 혼잣말을 한다. 의성 엄마가 파릇파릇한 말을 깨끗이 씻어서 썬다. 무를 먼저 썰어 살짝 바알갛게 물들 만큼만 고춧가루를 넣고 버무리다가 말하고 섞는다. 엄마가 손으로 섞는데 침을 꼴딱 삼켰다. 손으로 한 입 집어 먹었다. 어린 날 먹던 맛이 난다. 말은 된장으로 무쳐야 제맛이지. 바로 먹고 싶은데 꾹 참는다. 그릇에 담아 달라고 했다. 단술도 조금 얻어 하회에 갔다. 시아버지도 잘 드시고 시어머니도 잘 드신다. 아버님은 “참 오랜만에 먹어 보네.”’ 한다. 이가 안 좋아서 몇 가닥씩 집어서 드신다. 나는 밥에 듬뿍 올렸다. 무치고 남은 된장을 얻어왔는데, 함께 비빈다. 된장이 많이 짜네. 그래도 말에 더 섞는다. 들고 오는 사이 무가 숨죽으니 물이 고였다. 말잎이 푹 죽어도 맛있다. 한 그릇을 비우고 한 숟가락 더 비벼 먹었다. 가음못을 지날 적에 보니 그 큰못이 얼었더라. 말은 깨끗한 물에만 산다던데, 얼음을 깨고 말을 쳤겠지. 어떤 사람인지 몰라도 말을 건져서 파니…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69] 잘 걷지 “엄마, 금요일 언제쯤 오나?” “10시쯤 나설게. 일찍으면 너 집 치울게.” “여수 가면 좀 걷는데 잘 걷제?” “그래 내 잘 걷는다. 그런데 일요일이 보름인데 마을잔치를 열면 못 가지 싶다.” “아, 보름이가?” “둘이가 밥 당번인데 나도 나이가 들어가, 오십만 원 받아 밥 당번 맡는데, 내가 가면 혼자 한다고 말 나잖아. 일요일에는 교회 나가는 사람들이 있어 어쩔지, 알아보고 말할게.” “그러면 못 가겠네. 다음에 가면 되니 잔치 하면 오지 마요.” “세 해씩이나 놀러 못 댕겼는데, 나도 가고 싶지.” 엄마랑 같이 못 가도 나는 여수 오동도에 갈 생각이다. 여수 바닷가에서 저녁에 해넘이를 보고서, 아침에 해돋이도 보고 싶다. 붉게 물들인 하늘하고 바닷물이 무척 보고 싶다. 몇 군데 돌고서 순천으로 넘어가 선암사와 송광사에 갈 생각이다. 이렇게 지나는 길에 낙안읍성과 순천만도 볼까 싶다. 청산도까지 가고 싶지만, 청산도는 꽃이 활짝 피어날 무렵으로 미룬다. 길그림을 펼쳐 놓는다. 엄마랑 같이 간다면 더 좋을 텐데, 아무튼 가고 싶은 곳을 더 적어 넣는다. 주소도 옆에 적는다. 이렇게 길그림을 펼치고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68] 견디기 시골밭에서 흙을 담아 왔다. 동백에 조금 뿌리고 조그마한 텃밭에 살살 뿌렸다. 꽃이나 잎이 떨어지면 잘게 뜯어서 흙에 묻었다. 잎이 작고 여려서 이내 흙으로 돌아갔다. 작은 동백나무가 우리 집에 올 적에는 흙에도 나무에도 잎에도 이끼가 끼었다. 비닐집에서 살 적에는 촉촉해 보였는데, 우리 집에 오니 흙이 빨리 마른다. 물을 주어도 하룻밤 자고 나면 흙이 마른다. 손가락으로 살살 파 보고 긁어 보다가 물을 한 벌 준다. 물을 주다가 자꾸 마음이 쓰인다. 물을 주면 밖에 내놔야지 생각하다가 물을 주어서 얼면 또 어쩌나 걱정하고, 밑에 깔아 놓은 수건을 끌고 다니다가 한추위가 지나면 밖에 내어 튼튼하게 키우자 생각하다가, 아니지 밤새 추우면 어쩌나 싶다.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안으로 들였다. 벌써 다섯여섯 송이가 꽃잎을 연다. 아무래도 따뜻해. 동백은 추운 날 꽃을 피울 만큼 추위를 견디지. 시골서 갖고 온 흙을 꽃삽에 담아 여리고 작은 풀이 넘어지지 않게 살살 뿌렸다. 받침대에 깔아 놓은 수건을 당겨서 밖에 두었다. 이제는 안에 들이지 말아야지 생각한다. 바람을 알맞게 견뎌야 꽃이 차츰차츰 필 테고 오래 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