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숲노래 책숲마실 오월광주 ― 광주 〈일신서점〉 어느새 ‘오월광주’란 넉 글씨는 한 낱말로 뿌리내린 듯합니다. 해마다 오월이면 전남 광주는 길을 막고서 여러 잔치를 벌입니다. 그래요, ‘잔치’를 벌입니다. ‘고요히 기리는 자리’가 아니라 왁자지껄한 잔치판입니다. 2022년 5월 18일을 앞두고 광주로 바깥일을 보러 가는 김에 헌책집 〈일신서점〉에 들릅니다. 저는 광주책집을 자주 드나들지는 않습니다만, 광주에서 책집마실을 하며 다른 책손을 스치거나 만나는 일이 아주 드뭅니다. 누가 오월광주를 묻는다면, 전남사람으로서 “왁자판을 꺼리며 이름을 감추고 들풀로 가만히 지내는 사람이 한쪽이라면, 왁자판을 벌이고 왁자지껄하게 나서는 사람이 한쪽입니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숲노래 책숲마실 누가 시키면 ― 대전 〈중도서점〉 이 시골에서 저 시골로 찾아가는 길은 멀지만, 먼 만큼 길에서 느긋하게 삶을 돌아보면서 붓을 쥐어 글을 쓸 짬이 있습니다. 시골집에서는 집안일을 맡고 낱말책을 여민다면, 마실길에는 노래꽃을 쓰고 생각을 추스릅니다. 오늘 찾아갈 마을책집을 그리고, 이튿날 만나서 이야기꽃을 들려줄 이웃을 헤아리지요. 우리는 두 가지 말 가운데 하나를 씁니다. 하나는 사투리요, 둘은 서울말입니다. 사투리란, 삶·살림을 손수 짓는 사람으로서 사랑을 스스로 펴면서 숲빛을 누리고 나눌 적에 피어나는 말입니다. 서울말이란, 나라(정부)가 시키는 대로 따르고 받아들이면서 돈을 버는 바깥일을 하려고 외우느라 스스로 갇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숲노래 우리말 말 좀 생각합시다 27 손자아들 낱말책에서 ‘손녀딸(孫女-)’을 찾아보면 “‘손녀’를 귀엽게 이르는 말”로 풀이합니다. ‘손자아들’도 찾아보았어요. 그러나 ‘손자아들’은 낱말책에 없습니다. 그러려니 하고 지나갈 수 있으나 아리송합니다. 왜 ‘손녀딸’은 오르고 ‘손자아들’은 안 오를까요? 그리고 ‘손녀딸’이라는 낱말은 알맞은가 하고 더 헤아려 볼 만합니다. ‘손녀’라는 낱말로 우리 딸아들이 낳은 ‘딸’을 가리킵니다. ‘손녀 + 딸’은 겹말입니다. ‘외갓집’이나 ‘처갓집’도 겹말이지요. ‘외가·처가’가 바로 ‘집’을 가리키기에 ‘외가 + 집’이나 ‘처가 + 집’은 겹말이지요. 겹말이라 하더라도 귀엽게 이르려고 구태여 ‘손녀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할머니나 할아버지로서는 가시내만이 아닌 머스마도 귀엽게 마련이에요. 귀여운 머스마한테는 어떤 이름을 붙여야 할까요? 귀엽기에 “귀여운 손녀”나 “귀여운 손자”라고 하면…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41] 해바라기 꽃 가운데 가장 큰 꽃이 해바라기 같다. 낮에는 따가운 햇살을 받아도 해만 바라본다. 캄캄한 밤이 지나가고 아침이 되면 또 해를 보며 활짝 펼치고 하나같이 한쪽으로 꼿꼿이 섰다. 노란 해가 풀에 내려앉은 듯하다. 해바라기꽃이 노랗지 않고 빨갛다면 어떨까. 모든 꽃이 그러하듯이 유난히 커서 해바라기하고 이글거리는 불타는 붉은 해를 오롯이 닮았다면 우리 마음을 사로잡을까. 이 많은 해바라기꽃이 저를 보러 오라고 해를 보며 외치고 심부름하는 바람이 가슴팍에 문을 두드린다. 멧골에 들에 저절로 피어난 꽃을 나는 좋아한다. 이쁘거나 못나거나 절로 자란 풀꽃이 곱다. 이 한 철 가꾸어 놓은 해바라기꽃 또한 곱다. 숨이 턱턱 막히고 팔이 따가운데 꽃잎은 싱싱하기만 하다. 잎으로 감싼 몸을 이제 막 펼치려는 꽃도 있고 한껏 어깨를 둥글게 펼친 꽃이 있다. 해를 좋아해서 둥근가. 햇살이 닿은 곱던 수술이 딱딱하게 씨앗으로 둥글게 가지런히 여문다. 가운데부터 둥글게 별을 그리고 차츰차츰 더 넓게 피다가 여문다. 나비가 꽃에 앉았다. 찾아 든 나비는 해바라기와 닮은 옷빛이다. 나무도 아닌 풀이 이렇게 높이 자라고 넓은 잎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40] 들꽃 아침에 일어나니 들꽃이 무척 보고 싶었다. 달 끝물이라 짬이 될까, 서둔다. 여러 군데 돈을 보내고 손질도 빨리 끝냈다. 배가 살짝 고픈데 밥을 먹다 보면 마음이 바뀔 듯했다. 마침 곁님이 삶은 옥수수를 둘 준다. 커피하고 주스를 샀다. 며칠 앞서 걸이를 샀다. 물을 꽂으면 커피를 둘 곳이 없었다. 밑칸에는 물을 넣었다. 위에 종이와 붓을 담은 컵을 내리고 그 자리에 커피를 놓고 옆칸에 주스를 두고 전화기도 꽂는다. 라디오를 듣다가 성경을 듣는다. 걸이가 막혀 소리가 울리고 세다. 뒷칸에 옮기니 듣기가 가볍다. 곁님이 준 옥수수를 먹으면서 달린다. 몇 차례나 들머리를 지나가던 곳인데 한 바퀴 돌고 빠져나가는 길에서 엉뚱한 길로 나왔다. 내 생각에 바로가야 하는데 파동 쪽으로 알린다. 잘못 들어선 줄 뒤늦게 알지만 어쩌지 못하고 그대로 간다. 마을 끝에서 길이 만난다. 그래도 신바람이 난다. 돌아가는 일이 내겐 안 낯설다. 혼자 가니 수다 떨 일도 없으니 저 멀리 마을도 잘 보인다. 우륵마을에 가 보지 않아도 누가 나무라는 사람도 없어 홀가분하게 달린다. 해를 안고 달린다. 햇살이 따갑다. 차 문짝에 둔 토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39] 짜증이 사라지다 어제는 온통 먹구름으로 무겁고 까만 마음이더니 조금 갠다. 어제 큰딸한테 “영어를 모르네, 냄새가 나네.”’ 같은 온갖소리를 들었다. 그저 지나가며 한 말이라지만, 좀 아니라고 느꼈다. 곁님이 “할머니한테 냄새가 나도 모두 냄새난다는 말은 안 하잖아.” “그렇게 말하면 그때 바로잡아 주어야죠. 언니, 그러면 안 된다 하고, 당신도 따끔하게 말해야지.” 때를 놓쳤지만 마침 뛰러 간 사이 우리끼리 흉을 보았다. “나도 돈이 있어야 한다, 우리 사위한테 점수도 따야지.” 하고 말한 탓인지, “자 용돈이다.”하면서 곁님이 돈을 준다. 얼씨구 좋다 싶어 싹 닦아 넣는다. 모아서 딴 통장에 넣으려고 아무도 모르는 자리에 치워 두었다. 작은딸이 이제 안동으로 간다. 이 돈 십만 원을 꺼내서 주니 “엄마 돈 없잖아, 엄마 써.” “그래도 받아.” 끝내 안 받는다. 갸륵하고 고맙고 사랑스럽다. 이제 큰딸과 둘이 남는다. 작은딸을 역에 태워 주고 머리를 손질하고 오니 큰딸이 집에 왔다. 문을 여니 파스 냄새가 훅 난다. “웬 파스 냄새지.” “아, 오늘 많이 뛰어서 다리에 뿌렸어. 냄새가 그렇게 많이 나?” “문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말꽃 곁말 34 새바라기 한참 놀다가 문득 가만히 해를 보고서 담벼락에 기대던 어린 날입니다. 어쩐지 멍하니 해를 바라보는데 옆을 지나가던 어른이 “넌 해바라기를 하네?” 하고 얘기해서 “네? 해바라기가 뭔데요?” 하고 여쭈었더니 “해를 보니까 해바라기라고 하지.” 하고 일러 주었습니다. 속으로 그렇구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오래지 않아 ‘별바라기’라는 말을 듣습니다. 별을 좋아해서 밤하늘 별을 가만히 보는 일을 가리켜요. 낱말책에는 그릇을 가리키는 ‘바라기’만 나오고, ‘바라다·바람’을 가리키는 ‘바라기’는 아직 없습니다. ‘님바라기’를 흔히 말하고 ‘눈바라기·비바라기’가 되면서 ‘구름바라기·바다바라기’로 지내는 분이 퍽 많아요. 저는 ‘숲바라기’하고 ‘사랑바라기·꽃바라기’를 생각합니다. 어느새 어른이 되어 아이를 낳고 보니 ‘아이바라기’란 삶이 흐르고, 글을 써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말빛 곁말 33 일자리삯 서울에서 살며 일터를 쉬어야 할 적에 ‘쉬는삯’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일터를 다니는 동안 받는 삯에서 조금씩 뗀 몫이 있기에, 일을 쉬는 동안에 이 몫을 돌려받는 셈입니다. 서울살이를 하는 동안에는 미처 못 느꼈는데, ‘일자리삯’이라 할 이 돈은 서울사람(도시사람)만 받더군요. 시골에서 일하는 사람은 못 받아요. 씨앗을 심어 흙을 가꾸는 일꾼은 ‘일자리삯’하고 멀어요.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는 어떨까요? 곁일을 하는 푸름이는, 또 일거리를 찾는 젊은이는 어떨까요? 나라 얼개를 보면 빈틈이 꽤 많습니다. 이 빈틈은 일터를 이럭저럭 다니며 일삯을 꾸준히 받기만 했다면 좀처럼 못 느끼거나 못 보았겠다고 느낍니다. 시골에서 조용히 살기에 빈틈을 훤히 느끼고, 아이를 낳아 돌보는 살림길이기에 빈구석을 으레 봅니다. 아무래도 시골사람은 매우 적고,
[ 배달겨레소리 한실 글님 ] 울세다 피붙이나 아음이 많고 집안이 잘 되다. ㉥우리 집안은 한때 울세었지만, 요즘은 많이 기울었지. 느물거리다 말이나 짓이 능글맞다. ㉥누구한테라도 느물거리며 다가가지 말게. 자칫하면 걸려들 수 있어. 버드러지다 1. 끝이 밖으로 벌어져 나오다. ㉥거름더미에 호박을 심었더니 크고작은 줄기가 온 데로 버드러져 나가네. 2. 죽어 뻗뻗해지다. ㉥깍 맞고 버드러진 멧돼지. 반죽좋다 언죽번죽하여 노염이나 부끄럼을 타지 않고 유들유들하다. ㉥반죽이 좋은 숫돌이도 깨살핌곳에 몇 차례 불려다닌 뒤에는 함부로 입을 놀리지 않았어. 유들유들하다 1. 부끄러운 줄 모르고 뻔뻔하다. ㉥장사를 오래해서 그런지 미르돌이 몰라보게 유들유들해졌네. 2. 살이 찌고 번드르르 빛이 나다. ㉥젊을 때 깡마르고 빼빼였던 아무아무개님들이 멀봄에 비친 낯을 보면 다들 유들유들해 보였어. 언죽번죽하다 조금도 부끄러워하지 않고 뻔뻔스럽다. ㉥꽃벗인 곱단이 아우들이 오는 것을 내놓고 싫어해도 두돌은 언죽번죽하게 웃으며 쉬는 날엔 곱단이 집을 찾아갔다. 이죽거리다 밉살스럽게 지껄이며 빈정거리다. ㉥노돌은 나와 가까운 벗이지만 가끔 말꼬리를 잡고 이죽거릴 때가 있다. 빈정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아버지 아이를 낳는 아버지하고 어머니는 어버이라는 이름을 얻어요. 그러나 이름을 얻기에 어버이답거나 아버지답거나 어머니답지는 않습니다. 아이들을 오롯이 사랑하는 마음을 날마다 새롭게 빛내기에 비로소 어버이다우며 어른스럽습니다. 딸아들을 함께 돌보는 곁님입니다. 두 사람은 짝을 이루어 아들딸을 보살펴요. 짝꿍 가운데 한 사람만 애를 보아야 하지 않아요. 짝님인 두 사람이 나란히 지피는 사랑이 어우러지면서 보금자리마다 포근히 숨결이 흐르고 즐겁습니다. 둥지살림을 꾸리다 보면 어느 날은 고갯마루를 넘는 듯할는지 몰라요. 이때에는 한결 느긋이 고개를 넘으면 돼요. 어느 때는 고빗사위처럼 아슬아슬하겠지요. 이때에는 더욱 넉넉히 마음을 다독이면서 아이들하고 소꿉놀이를 하듯 천천히 가면 되어요. 욱여넣듯 적바림해야 글이 되지 않습니다. 잔뜩 써넣어야 멋지지 않아요. 어제는 어제요 오늘은 오늘인 줄 환하게 헤아리면서 새길을 가는 몸차림으로 한 줄씩 옮기면 어느새 글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