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쇠날 이레말 9 [삶말/사자성어] 탄소중립 세계 최초의 탄소중립국이 되겠다고 → 온누리 첫 잿빛씻이 나라가 되겠다고 탄소중립을 지키겠다고 선언했다 → 잿빛털이를 지키겠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 x 탄소(炭素) : [화학] 주기율표 제14족에 속하는 비금속 원소의 하나. 유기 화합물의 주요 구성 원소로, 숯·석탄·금강석 따위로 산출된다. 보통 온도에서는 공기나 물의 작용을 받지 않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산소와 쉽게 화합한다. 산화물의 환원, 금속 정련 따위에 쓴다 중립(中立) : 1. 어느 편에도 치우치지 않고 중간적인 입장에 섬. 또는 그런 입장 2. 국가 사이의 분쟁이나 전쟁에 관여하지 아니하고 중간 입장을 지킴 탄소를 내보내면 그만큼 탄소를 줄이도록 한다는 ‘탄소중립’이라고 합니다. 탄소를 늘리지 않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선정적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장면이 많아 → 사납고 낯뜨거운 데가 많아 무희들의 선정적 몸짓에 넋을 잃었다 → 맨살이 드러난 춤꾼 몸짓에 넋을 잃었다 ‘선정적(煽情的)’은 “정욕을 자극하여 일으키는 것”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낯뜨겁다·화끈하다’나 ‘엉큼하다·앙큼하다·응큼하다’로 고쳐씁니다. ‘벗기다·옷벗기다·발가벗다’나 ‘맨살·맨살이 훤하다’로 고쳐쓸 만하고, 자리를 살펴서 ‘추레하다·더럽다·지저분하다’나 ‘새빨갛다·빨갛다’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여태 만화를 그리면서 내 만화를 한 번도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습니다 → 여태 그림꽃을 그리면서 조금도 거칠거나 지저분하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습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이두호, 행복한만화가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의하다 依 노동에 의한 소득 → 일벌이 / 일해서 얻은 소득 전쟁에 의한 참화 → 잿더미 / 싸움 불구덩이 사상은 언어에 의하여 표현된다 → 생각은 말로 나타낸다 소문에 의하면 → 얘기에 따르면 / 말을 들으면 / 들리기로는 실천에 의하여 검증된다 → 해봐야 안다 / 해보면서 밝혀진다 밝혀진 바에 의하면 → 밝혀진 바를 보면 / 밝혀진 바로는 ‘의하다(依-)’는 “무엇에 의거하거나 기초하다. 또는 무엇으로 말미암다”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거(依據)하다’는 “어떤 사실이나 원리 따위에 근거하다”라 하고, ‘기초(基礎)하다’는 “근거를 두다”라 하니, 낱말책 말풀이는 겹말풀이인 셈입니다. ‘근거(根據)’는 “1. 근본이 되는 거점 2. 어떤 일이나 의논, 의견에 그 근본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 무게 하중 배낭 무게는 더 나갈 것이다 … 엄청난 무게이다 → 짐 무게는 더 나갈 듯하다 … 무게가 엄청나다 무게 : 1. 물건의 무거운 정도 ≒ 중량(重量) 2. 사물이 지닌 가치나 중요성의 정도 3. 사람 됨됨이의 침착하고 의젓한 정도 4. 마음으로 느끼는 기쁨이나 책임감 따위의 정도 하중(荷重) : 어떤 물체 따위의 무게. ‘무게’, ‘짐 무게’로 순화 얼마나 무거운가를 헤아리는 ‘무게’입니다. 한자말 ‘하중’은 ‘무게’로 고쳐쓸 낱말이라지요. 보기글처럼 ‘무게·하중’을 잇달아 쓸 까닭이 없이 ‘무게’만 쓰면 되고, 뒤쪽에서 “엄청난 하중이다”는 “엄청나다”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배낭 무게는 족히 3∼4kg은 더 나갈 것이다. 1kg이라도 줄여야 하는 장거리 도보여행자에게 그 정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 기억 記憶 기억에 오래 남다 → 머리에 오래 남다 / 마음에 오래 남다 기억을 불러일으키다 → 옛 생각을 불러일으키다 / 옛 생각을 불러일으키다 예전의 기억이 희미하다 → 예전 생각이 흐릿하다 기억이 없으신 모양이군요 → 생각이 안 나는 듯하군요 머릿속에 기억되는 이름 → 머릿속에 떠오르는 이름 컴퓨터에 기억된 프로그램 → 셈틀에 담은 풀그림 오래 기억될 것이다 → 오래 간직될 것이다 / 오래 남을 것이다 조금 흐렸던 것으로 기억된다 → 조금 흐렸다고 떠오른다 나를 기억하겠니 → 나를 떠올리겠니 / 나를 생각해 내겠니 별걸 다 기억한다 → 온갖 걸 다 떠올린다 / 온갖 걸 다 되새긴다 자세히 기억하고 있었다 → 꼼꼼히 되새겼다 / 찬찬히 떠올렸다 아직도 그를 기억하고 있다 →…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10 ㄱ. 선한 인간성을 파괴하는 것은 선하다(善-) : 올바르고 착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는 데가 있다 인간성(人間性) : 1. 인간의 본성 2. 사람의 됨됨이 파괴(破壞) : 1. 때려 부수거나 깨뜨려 헐어 버림 2. 조직, 질서, 관계 따위를 와해하거나 무너뜨림 반성적(反省的) : 자신의 언행에 대하여 잘못이나 부족함이 없는지 돌이켜 보는 것 사고(思考) : 1. 생각하고 궁리함 2. [심리] 심상이나 지식을 사용하는 마음의 작용. 이에 의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직관적 사고, 분석적 사고, 집중적 사고, 확산적 사고 따위가 있다 3. [철학] = 사유(思惟) 상실(喪失) : 1. 어떤 사람과 관계가 끊어지거나 헤어지게 됨 2. 어떤 것이 아주 없어지거나 사라짐 획일적(劃一的) : 1. 모두가 한결같아서 다름이 없는 2. 모두가 가지런하게 고른 전체주의(全體主義) : [사회 일반] 개인의 모든 활동은 민족·국가와 같은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하여서만 존재한다는 이념 아래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사상. 이탈리아의 파시즘과 독일의 나치즘이 대표적이다 지적(指摘) : 1. 꼭 집어서 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9 ㄱ. 뒤섞인 가운데 새들이 날고 있다 무늬만 한글이도록 글을 쓰는 분이 늘어납니다. 보기글에는 한자말도 영어도 깃들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보기글을 우리말씨라고는 여길 수 없습니다. “뒤섞인 가운데”는 옮김말씨하고 일본말씨가 뒤섞입니다. 영어 ‘-ing’ 꼴을 일본에서 ‘中’으로 옮기던 말씨를 ‘가운데’로 바꾼들 우리말씨이지 않아요. “뒤섞이고”라고만 적을 노릇입니다. 꽃이 피거나 풀이 날 적에 우리말씨로는 “꽃들이 핀다”나 “풀들이 난다”처럼 말하지 않습니다. 비가 올 적에 “빗방울들이 떨어진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들’은 아무 데나 안 붙입니다. 또한 “날고 있다”가 아닌 “난다”나 “날아간다”나 “날아오른다”로 적어야 우리말씨예요. 씨앗을 흙에 묻을 적에 “씨앗들을 흙들에 묻는다”고 하지 않아요. “씨앗을 흙에 묻는다”라 합니다. 옷에 먼지가 묻을 적에 “옷에 먼지들이 묻는다”가 아닌 “옷에 먼지가 묻는다”라 해야 우리말씨입니다. 낮과 밤이 뒤섞인 가운데 새들이 날고 있다 → 낮과 밤이 뒤섞이고 새가 난다 → 낮밤이 뒤섞이고 새가 날아간다 → 낮밤이 뒤섞인 채 새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10 도식적 도식적으로 나타내다 → 그림으로 나타내다 / 얼거리로 나타내다 도식적인 사고 → 뻔한 생각 / 틀박이넋 도식적 표현에 불과하다 → 따분한 말일 뿐이다 / 싱거운 말일 뿐이다 도식적 수법이다 → 낡은 길이다 / 닳아빠진 틀이다 도식적 입장으로는 → 짜맞추어서는 / 끼워맞춰서는 / 꿰맞춰서는 ‘도식적(圖式的)’은 “1. 사물의 구조, 관계, 변화 상태 따위를 나타낸 그림이나 양식 같은 것 2. 사물의 본질이나 구체적인 특성을 밝히기 위한 창조적 태도 없이, 일정한 형식이나 틀에 기계적으로 맞추려는 경향 같은 것 = 도식주의적 3. 사물의 구조, 관계, 변화 상태 따위를 나타낸 그림이나 양식 같은 4. 사물의 본질이나 구체적인 특성을 밝히기 위한 창조적 태도 없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5 : 개의 개의 털을 쓰다듬다 → 개털을 쓰다듬다 개의 이름을 짓는다 → 개 이름을 짓는다 ‘개 + -의’ 얼개라면 ‘-의’를 털어냅니다. 또는 ‘-는·-가’나 ‘-를’이나 ‘-한테’ 같은 토씨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개의 경우는 커다란 제스처로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것도 좋다 → 개는 커다란 몸짓으로 머리를 쓰다듬어 주어도 좋다 → 개를 다룰 때에는 머리를 크게 쓰다듬어도 좋다 → 개한테는 머리를 크게 쓰다듬어도 좋다 《동물과의 대화》(增井光子/미승우 옮김, 언어문화사, 1976) 135쪽 그 개의 문제는 눈이 멀었다는 데 있는 게 아니라 → 그 개는 눈이 멀어서 말썽이지 않고 → 그 개는 눈이 멀어서 안 좋지 않고 《나쁜 소년이 서 있다》(허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19 자녀 子女 친구 자녀 데려다가 두고서는 → 동무 아이 데려다가 두고서는 자녀 간에 하나도 없다고 → 딸아들 새에 하나도 없다고 슬하에 자녀는 몇이나 두었소 → 곁에 아들딸은 몇이나 두었소 ‘자녀(子女)’는 “아들과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아이’나 ‘애·아이들’이나 ‘딸아들·아들딸’로 고쳐씁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자녀(姿女/恣女)’를 “행실이 음란하고 방탕한 여자”로 풀이하면서 싣는데 털어냅니다. ㅅㄴㄹ 자녀들에게 부정적인 용어들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 아이들한테 나쁜 말을 흔히 쓰기 때문에 → 아이한테 안 좋은 말을 자꾸 쓰기에 → 아이가 듣기에 나쁠 말을 흔히 쓰기에 → 아이들한테 안 좋을 말을 자꾸 쓰니 《국경 없는 마을》(박채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