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16 ㄱ. 일타강사 일타강사(一star講師) : 학원 등에서 가장 인기가 많거나 수강신청이 첫 번째로 마감되는 인기 강사를 말한다 강사(講師) 1. 학교나 학원 따위에서 위촉을 받아 강의를 하는 사람. 시간 강사와 전임 강사가 있다 2. 모임에서 강의를 맡은 사람 3. [불교] 강당에서 경론을 강의하는 승려 누구보다 잘 이끌면 ‘으뜸길잡이’입니다. 한자 ‘일(一)’에 영어 ‘스타(star)’를 더한 ‘일타강사’는 우리나라에서 지었을까요, 아니면 일본에서 퍼뜨린 말을 받아들였을까요? ‘꼭두길님’이나 ‘으뜸길님’이기를 바랍니다. ‘첫별’이나 ‘샛별’이기를 바라요. ‘별님·별잡이’나 ‘꽃님·꽃잡이·꽃길님·꽃길잡이’로서 아름다이 가르치거나 이끌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일타강사가 이 책을 읽어 주고 있었다 → 으뜸길잡이가 이 책을 읽어 주었다 → 꼭두길잡이가 이 책을 읽어 주었다 《숲속책방 천일야화》(백창화, 남해의봄날, 2021) 187쪽 ㄴ. 우울증 압도적 자기혐오 비판 동반 우울(憂鬱) : 1. 근심스럽거나 답답하여 활기가 없음 2. [심리] 반성과 공상이 따르는 가벼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15 ㄱ. 개성적인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은 그녀가 작품(作品) : 1. 만든 물품 2. 예술 창작 활동으로 얻어지는 제작물 3. 꾸며서 만든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개성적(個性的) : 다른 사람이나 개체와 뚜렷이 구별되는 발하다(發-) : 1. 꽃 따위가 피다 2. 빛, 소리, 냄새, 열, 기운, 감정 따위가 일어나다. 또는 그렇게 되게 하다 3. 어떤 내용을 공개적으로 펴서 알리다 4. 군대 따위를 일으켜 움직이다 각각(各各) : 1. 사람이나 물건의 하나하나 2. 사람이나 물건의 하나하나마다 생명(生命) : 1. 사람이 살아서 숨 쉬고 활동할 수 있게 하는 힘 2. 여자의 자궁 속에 자리 잡아 앞으로 사람으로 태어날 존재 3. 동물과 식물의, 생물로서 살아 있게 하는 힘 4. 사물이 유지되는 일정한 기간 5. 사물이 존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분(德分) : 베풀어 준 은혜나 도움 ≒ 덕(德)·덕윤·덕택 지어서 선보입니다. 글이며 그림을 짓고, 살림을 짓습니다. 다 다르기에 ‘다르다’고 합니다. ‘남다르다’고도 하지요. 빛은 ‘나다·내다’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만의 (萬/만의 하나·만에 하나) 그럴 리는 없겠지만 만에 하나 시간이 남는다면 → 그럴 일은 없겠지만 틈이 난다면 만의 하나라도 실패한다면 → 어쩌다가 자빠진다면 / 자칫 넘어진다면 만의 하나라는 각오로 임한다 → 모른다는 다짐으로 한다 ‘만(萬)’은 “천의 열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를 가리킨다고 하는데, “만의 하나·만에 하나”라는 말씨로 “아주 드묾”을 나타낸다지요. 이 말씨는 ‘드물다·뜸하다’나 ‘적다·보기 어려다·거의 없다’로 손볼 만합니다. ‘어쩌다·문득·비록·모르다’나 ‘설마·자칫·설핏·얼핏’으로 손보고, ‘아니면·아니라면·아뿔싸’로 손보며, ‘하나라도·조금이라도’나 ‘그러나·그런데·그렇지만’으로 손보면 되어요. ㅅㄴㄹ 만의 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처리 處理 행정 처리 → 나랏일 사고 처리 비용 → 말썽을 치우는 값 처리 속도가 빨랐다 → 빠르게 움직였다 / 빠르게 해낸다 실종으로 처리되었다 → 사라졌다고 여긴다 무혐의로 처리되었다 → 잘못이 없다고 하였다 신속하게 처리해야 할 것입니다 → 얼른 치워야 합니다 폐수 처리 시설을 설치하다 → 구정물 거름터를 놓다 방수 처리가 허술한 → 물막음이 허술한 불에 타지 않게 처리된 벽지 → 불에 타지 않게 한 담종이 물이 새지 않게 처리했습니다 → 물이 새지 않게 했습니다 ‘처리(處理)’는 “1. 사무나 사건 따위를 절차에 따라 정리하여 치르거나 마무리를 지음 2. 일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화학적 또는 물리적 작용을 일으킴”을 가리킨다고 합니다만, ‘다루다·다스리다’나 ‘가누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구체적 사물의 구체적 발현 → 살림이 고스란히 드러남 구체적 모습 → 속모습 / 제모습 / 온모습 묘사는 추상적인 대상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는 방법이다 → 그림은 마음속 모습을 눈앞에 보여준다 구체적 사례 → 보기 / 낱낱 보기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면 -- 이를테면 / 보기를 들면 구체적 근거가 없다 → 따로 들지 못하다 / 밑바탕이 없다 구체적 대안 → 뚜렷한 길 / 또렷한 길 구체적 경위를 밝히다 → 까닭을 하나씩 밝히다 구체적인 내용 → 낱낱 이야기 / 여러 이야기 / 속이야기 / 알맹이 / 속살 구체적으로 말하다 → 낱낱이 말하다 / 차근차근 말하다 / 뚜렷이 말하다 구체적인 부분까지 논의하다 → 하나하나 따지다 / 작은 곳까지 다루다 ‘구체적(具體的)’은 “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14 ㄱ. 반역적 기운생동 느낌 받는 것 반역(反逆/叛逆) : 1. 나라와 겨레를 배반함 ≒ 난역·오역 2. 통치자에게서 나라를 다스리는 권한을 빼앗으려고 함 기운생동(氣韻生動) : 1. 기품이 넘침. 뛰어난 예술품을 두고 이르는 말이다 2. [미술] 동양화에서 쓰는 육법의 하나. 천지 만물이 지니는 생생한 느낌을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옛 글바치는 한자를 드러낸 한문만 글로 쳤고, 일본이 총칼로 쳐들어온 뒤부터 까맣게 한자를 밝히며 일본글을 토씨로 붙여야 글로 여겼는데, 요새는 무늬만 한글이면서 한자말을 가득 엮어서 옮김말씨로 꾸며야 멋스럽다고 보는구나 싶습니다. “반역적 기운이 기운생동하고 있다”는 뭔 소리일까요? “기운이 기운생동”이라니 얄궂습니다. 우리말 ‘기운’하고 한자말 ‘氣韻’을 말장난처럼 나란히 놓으며 얄궂고, “느낀다”라 끊을 대목을 “느낌을 받는 것이다”처럼 자잘하게 늘리니 더 얄궂어요. ㅅㄴㄹ 반역적 기운이 기운생동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것이다 → 꺼리는 기운이 빛난다고 느낀다 → 얼굴돌리는 기운이 샘솟는다고 느낀다 → 뒤엎는 기운이 일어난다고 느낀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13 ㄱ. 이 땅의 엄청난 환대 알게 될 거야 환대(歡待) : 반갑게 맞아 정성껏 후하게 대접함 우리말 ‘반갑다·반기다’나 ‘기쁘다·기뻐하다’가 있으나, 적잖은 글바치는 한동안 ‘환영’이란 한자말을 쓰다가 요즈막에 ‘환대’란 한자말로 살그마니 갈아탑니다. 한자말 사이에서 헤매지 말고 우리말을 쓰면 됩니다. 우리말을 안 쓰려 하니 “이 땅의 엄청난 환대”처럼 일본·옮김말씨가 불거지고 “알게 될 거야” 같은 옮김말씨가 잇달아요. “이 땅의”는 토씨를 ‘-이’로 고치고 “엄청난 환대”는 “엄청나게 기뻐하기”로 고치며 “알게 될 거야”는 “알아”나 “알 수 있어”로 고칩니다. ㅅㄴㄹ 모두 이 땅의 엄청난 환대 때문이라는 것을 곧 알게 될 거야 → 모두 이 땅이 엄청 반기기 때문인 줄 곧 알 수 있어 → 모두 이 땅이 엄청나게 기뻐하기 때문인 줄 곧 알아 《충실한 정원사》(클라리사 에스테스/김나현 옮김, 휴먼하우스, 2017) 60쪽 ㄴ. 나의 여정 그림책 속 여정 것 같다 여정(旅程) : 여행의 과정이나 일정 ≒ 객정(客程) 우리말씨를 잊기에 “나의 여정”처럼 일본말씨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ㄱ. 겹말 손질 : 아래를 내려다보다 아래를 내려다보면 → 내려다보면 → 밑을 보면 아래 : 1. 어떤 기준보다 낮은 위치 2. 신분, 연령, 지위, 정도 따위에서 어떠한 것보다 낮은 쪽 3. 조건, 영향 따위가 미치는 범위 4. 글 따위에서, 뒤에 오는 내용 5. ‘음부’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 내려다보다 : 1.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보다 2. 자기보다 한층 낮추어 보다 낱말풀이를 살피면 ‘내려다보다 = 아래를 보다’이니, “아래를 내려다보다”는 겹말입니다. ‘내려다보다’라고만 쓰면 되고, “밑을 보다”라 하면 됩니다. 그리고 낱말풀이는 ‘내려다보다 : 눈을 내리듯이 보거나 눈을 내리면서 보다.’로 바로잡아야지 싶습니다. 눈을 내리면서 보기에 ‘밑’을 보는 모습입니다. 또한 ‘아래 3·4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ㄱ 겹말 손질 : 주변에서 남들이 주변에서 남들이 → 둘레에서 → 남들이 주변(周邊) : 1. 어떤 대상의 둘레 2. = 전두리 남 : 1. 자기 이외의 다른 사람 2. 일가가 아닌 사람 3. 아무런 관계가 없거나 관계를 끊은 사람 둘레에 있는 사람이 ‘남’입니다. 한자말 ‘주변’은 ‘둘레’를 가리키고, “주변에서 남들이”라 할 적에는 “둘레에서”나 “남들이”를 가리켜요. 겹말입니다. 보기글은 “둘레에서”나 “이곳저곳에서”나 “여기저기에서”로 손질합니다. ㅅㄴㄹ 주변에서 남들이 내가 고희(古稀)를 맞이했다고들 한다 → 둘레에서 내가 바른철을 맞이했다고들 한다 → 이곳저곳에서 내가 일흔을 맞이했다고들 한다 《동굴 속의 독백》(리영희, 나남출판, 1999) 7쪽 ㄴ 겹말 손질 : 공평하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노인 老人 노인을 공경하다 → 어르신을 섬기다 평범하게 산 노인보다 → 수수하게 산 늙네보다 팔십 난 노인인데 → 여든 난 할매인데 / 여든 난 할배인데 ‘노인(老人)’은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 ≒ 구로·기수·노창·백수·숙기”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늙다’나 ‘늙은이·늙사람·늙은사람·늙은내기’나 ‘늙네·늙님·늙은네·늙으신네·늙다리·늙둥이’로 손질합니다. ‘주름살·쪼글쪼글·쭈글쭈글’이나 ‘굽다·꼬부랑·꾸부렁’으로 손질할 만하고, ‘할머니·할아버지·할매·할배·할할머니·할할아버지’나 ‘어르신’으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어른·어른같다·어른답다·어른스럽다’나 ‘얼찬이’로 손질해도 되고, ‘꼬장꼬장·꼬장꼬장하다·꼬장이·꼬장질·꼬장짓’이나 ‘꼰대·꼰대질·꼰대짓’으로 손질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