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맨몸받이 모든 일은 맨몸에서 비롯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누구나 맨손으로 어머니 품에서 태어났어요. 우리를 낳은 두 어버이도 맨몸에 오롯이 사랑을 담아 만났어요. 우리가 자라나는 길에는 사랑을 담은 살림을 누리면서 둘레를 하나하나 익혔지요. 서로 맨손이라면 조용해요. 총칼을 뚝딱거리거나 주먹을 휘두르려 할 적에는 그만 죽음길이 생겨요. 총칼을 때려지으려고 숱한 사람들이 어마어마한 돈을 들이고 들숲바다를 끔찍하게 망가뜨리는데, 총칼이 있어야 나라를 지킨다는 거짓말이 끝없이 퍼지더군요. 우리나라도 이웃나라도 가난하지 않습니다. 모든 나라가 부질없이 싸움붙이에 매달리면서 사람들을 길들여 쑤시고 때리고 꽂고 찌르니 그만 바보가 될 뿐입니다. 서로 죽이고 죽는 싸움연모에 들어가는 돈이 얼마인 줄 아시나요? “내가 더 커야 하고, 내가 더 세야 하고, 내가 더 많이 쥐어야 하고, 나 혼자 으뜸이어야 한다”고 여기면서 힘을 앞세우는 멍청짓에 놀아납니다. 다 내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티격태격 서로 으르렁댄다면 서로 손을 잡을 마음이 없습니다. 맞받거나 맞붙으면서 싸우려고 할 뿐입니다. 서로 옳다고 내세우니 티격태격입니다. 잘못은 나무랄 만하고, 잘 하면 치켜세울 만한데, 마음이 안 맞는다면서 갈라서서 발톱을 내밀면서 어그러지면 팔팔결로 등지겠지요. 어질게 하는 일에도 거스르고, 착하게 여미는 길에도 튕기려 한다면, 다시금 치고받을 테고요. 누구나 서로 다르니까 달리 바라볼 뿐입니다. 마음이 다르기에 따따부따하거나 시시콜콜 뒤집어야 하지 않아요. 아니라 느끼면 아니라 말하되, 그저 거꾸로 서려는 마음을 녹여야지 싶습니다. 노려보면서 두가름으로 서려 하지 말고, 하늘과 땅 사이에서 아름답게 펼 길을 찬찬히 생각할 노릇입니다. 들숲바다를 보면 다 다른 풀꽃나무에 숨결이 어우러집니다. 한 가지 풀만 자랄 수 없고, 한 가지 나무만 설 수 없고, 한 가지 헤엄이만 노닐 수 없어요. 온갖 풀이 갈마들고, 나무 사이에 숱한 숲짐승이 살아가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익힘꽃 똑같은 말 한 마디이지만, 바라보거나 받아들이는 눈길에 따라서 즐거울 수 있고 싫을 수 있습니다. 스스럼없이 환하게 틔운 눈길이라면 어느 말이건 사랑을 얹으면서 즐거워요. 스스러운 나머지 가두거나 막은 눈길이라면 어느 말이건 꺼리고 내치고 등돌리면서 골머리를 썩입니다. 어렵기 때문에 골치 아플 수 있으나, 마음을 닫았기에 골아프게 마련이에요. 깊숙하게 들어가기에 까다롭지 않아요. 차근차근 마주하면서 찬찬히 보려는 마음이 없기에 얕건 깊디깊건 그저 깐깐하게 도리도리하면서 어렵다고 물립니다. 따지다가 끝나기에 먹물입니다. 꼼꼼하게 보고서 포근히 보듬으려 하기에 익힘꽃입니다. 힘들게 깨우쳤으니 일부러 어렵게 쓰는 사람이 있다면, 힘겹게 깨달았어도 되레 쉽게 풀어내는 사람이 있어요. 우리는 서로 앎꽃이나 익힘꽃으로 만날 수 있어요. 이웃나라말이기에 골치 앓을 만하지 않습니다. 나라밖에서 들이건 우리 스스로 짓건, 반가이 어깨동무하려는 눈썰미로 추스른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지그재그zigzag 지그재그(zigzag) : 1. 한자 ‘之’ 자 모양으로 직선을 좌우로 그어 나간 형상 = 갈지자형 2. [무용] ‘Z’ 자형 댄스 스텝 3. [체육] 스키나 등산 따위에서 ‘Z’ 자형으로 된 길 zigzag : 1. 지그재그, 갈지자형 2. 지그재그[갈지자형]로 나아가다 ジグザグ(zigzag) : 1. 지그재그 2. Z자꼴. 번개꼴 3. 수예 등에서 Z자꼴로 바늘을 움직임 일본 낱말책은 ‘지그재그’라는 영어를 “Z자꼴. 번개꼴”로도 풀이합니다. 누가 이렇게 옮겼는지 모르겠으나, ‘번개꼴’은 무척 어울립니다. 넉넉히 살려쓸 만합니다. ‘갈마들다’나 ‘구불구불·고불고불·꾸불꾸불·꼬불꼬불’을 쓸 수 있고, ‘오락가락·왔다갔다·이리저리’나 ‘춤추다·널뛰다’를 써도 어울려요. 때로는 ‘휘청·휘청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동안의 (낯) 동안(童顔)의 피부를 유지한다 → 앳된 살결을 건사한다 동안(童顔)의 매력을 발산하다 → 어린빛을 곱게 뿜는다 ‘동안(童顔)’은 “1. 어린아이의 얼굴 2. 나이 든 사람이 지니고 있는 어린아이 같은 얼굴”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동안 + -의’ 얼거리라면 ‘-의’를 털어내고서, ‘어리다·어린빛·어린이’나 ‘앳되다·애티’나 ‘아이넋·아이빛·아이낯·아이얼굴’로 손봅니다. ‘풋내·풋풋하다·푸르다’나 ‘곱다·귀엽다’나 ‘맑다·말갛다·해맑다·깨끗하다·보얗다’로 손보아도 되어요. ㅅㄴㄹ 내가 본 얼굴은 동안의 젊은이였다 → 내가 본 사람은 앳된 젊은이였다 → 내가 본 사람은 퍽 앳되었다 → 내가 본 사람은 애티 나는 얼굴이다 → 내가 본 사람은 퍽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 속하다 屬 상류층에 속하다 → 위쪽에 있다 / 위에 들다 미인형에 속하는 편이다 → 예쁜 얼굴이라 할 만하다 / 고운 얼굴에 든다 미개척 분야에 속하다 → 손닿지 않은 곳이다 / 파헤치지 않은 곳이다 그 고장은 여기에 속한다 → 그 고장은 여기에 든다 고기류에 속하다 보니 → 고기붙이에 들다 보니 / 고기 가운데 하나이다 보니 네가 속한 모임 → 네가 있는 모임 / 네가 들어간 모임 / 네가 일하는 모임 ‘속하다(屬-)’는 “관계되어 딸리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관계(關係)되다’는 ‘이어지다’나 ‘얽히다’를 가리킵니다. 그러니 ‘딸리다·이어지다·얽히다’나 ‘깃들다·끼다·넣다·놓다’나 ‘두다·도사리다·삼다·서리다·어리다’로 손볼 만합니다. ‘있다·계시다·이다·이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게 삶으로 025 귀청을 찢는 소리 《떨림과 울림》 김상욱 지음 동아시아 2018.10.30. 지지난 십이월에 귀에 소리가 나서 애를 먹었다. 잠이 들려고 하면 귀에서 챙챙거리는 소리가 터지고 잠을 못 이루었다. 약을 먹고 좀 나아지는 듯하더니 요즘 들어 또 말썽이다. 귀에 바람이 꽉 차는 듯하다. 윙윙거리는 소리가 찌릿찌릿 흐르는 듯하기도 하고, 어떤 날은 귀가 터지려는 듯싶다. 하품을 하면 뭔가 확 뚫리고, 자면서 귓바퀴를 돌아가며 쭉쭉 잡아당기면 한결 낫다. 바닥에 눕거나 자리에 누워 잠들려고 가만히 있으면 집이 흔들린다. 나뭇가지가 바람에 휘청이다가 제자리로 온 듯하다. 늦은밤에는 길에 차도 많이 다니지 않는데 집이 흔들린다. 어느 날은, 이렇게 흔들린다고 생각하면 집이 무너질까 걱정스러웠다. 짝한테 말을 하니 헛소리로 듣는다. 어떤 날은 글을 쓰는데 책상도 흔들린다. 아주 여리게 팔로 느낀다. 지하도 건너 기차가 달리거나 지하철이 세게 달려서 우리 집이 살짝 떨리는 줄 알았다. 지난해 봄에 장만한 《떨림과 울림》을 다시 읽었다. 멈추었다고 여기지만, 알고 보면 다 떤다고 한다. 이집트 피라미드도 떨고, 집도 떨고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게 삶으로 024 이 나이에 만화를 《붓다 1》 테즈카 오사무 지음 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11.4.25. 만화책 《붓다 1》를 읽는다. ‘붓다’라는 이름을 붙인 비슷한 책이 많지만, 이 만화책은 글하고 그림이 나란하다. 어찌 보면, 그림이 덤으로 있으니 글에 나오는 ‘붓다’ 삶을 헤아리는 길을 살며서 돕는 듯하다. 《붓다 1》는 싯다르타 또는 석가모니라는 이름으로 태어나는 왕자를 다룬다. 히말리야산맥 기슭 인더스강 둘레에서 가뭄과 싸우면서 살아온 사람들이 어떤 하루인지를 먼저 보여준다. 브라만이 온나라를 다스린다. 다스리는 사람들은 겉치레로 헤프다고 한다. 신분차별은 아직 사라지지 않았다. 학벌로 나누고 직업으로 나눈다. 벌이도 틈이 난다. 문학도 마찬가지이다. 창작반을 나왔는지 따지고, 이름있는 잡지에 글을 실었는지 묻는다. 이름을 드날린 사람만 받아들일 뿐 아니라, 문조차 좁다. 언론에서 책이나 글을 소개해 주어 힘을 받은 몇몇 사람들은 여러모로 인맥에 학맥에 여러 줄을 대더라. 다들 우루루 줄서기를 한다. 줄을 잘 서야 빨리 이름을 낼 수 있다. 그러나 나도 그런 줄에 닿고 싶었고, 그런 모임에 이름을 끼워 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하루 2023.9.28. 가시아버지 떠나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가시아버지가 오늘 낮에 몸을 내려놓았습니다. 아침에 고흥 도양읍 마을책집 〈더바구니〉로 책꾸러미를 챙겨 가서 노래꽃(시)을 천에 열두 자락 옮겨적고서, 고흥으로 시외버스를 타고 나와서, 북적이는 한가위 시골에서 저잣마실을 한 뒤에, 시골버스로 집으로 돌아왔어요. 한참 볕바라기를 하며 걸었는데, 가시아버지 얘기를 듣고서 부랴부랴 길(교통편)을 살폈습니다. 이튿날이 한가위라, 용케 순천에서 용산으로 가는 이른아침 칙폭(기차)이 몇 자리 있습니다. 단골 택시 기사님한테 말씀을 여쭈어, 새벽바람으로 택시를 달려 순천으로 가기로 합니다. 가시아버지는 내내 앓았습니다. 여든네 해를 앓았습니다. ‘끔찍한 좀(병)’을 앓지는 않았습니다. 스스로 사랑하는 길하고 먼 ‘불앓이(화병)’를 했어요. 이래도 불앓이에, 저래도 불앓이였습니다. 처음 가시아버지를 만나던 날, 바로 이 불앓이가 가시아버지 몸마음을 불태울 텐데 싶었으나, 그무렵 가시아버지는 ‘아직 웬만해서는 팔씨름도 안 진다’고 여기는 웃사내 같은 마음마저 짙었습니다. 앓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41. 봄샘 봄을 앞둔 겨울은 추위가 모집니다. 봄이 다가오니 봄을 시샘한다고도 하지만, 아직 겨울이니 겨울답게 바람이 매섭고 날은 싸늘하겠지요. 봄을 시샘한다는 추위를 놓고 옛사람은 재미나게 말을 엮었습니다. 꽃샘추위 잎샘추위 봄을 시샘하는 날씨라면 ‘봄샘’이라 하면 될 텐데, 굳이 ‘꽃샘’하고 ‘잎샘’이라는 이름으로 지었어요. 이 대목을 도두보면 좋겠어요. 그만큼 이 나라 흙지기는 언제나 꽃을 바라보고 잎을 살펴보았다는 뜻이 흘러요. 언제나 꽃이며 잎을 돌보고 곁에 두면서 마음으로 품었구나 싶은 숨결을 느낄 만해요. 꽃샘나이 봄샘나이 꽃이며 잎을 샘내는 추위를 나타내는 낱말을 헤아리다가 문득 새말을 짓고 싶었습니다. 이리하여 ‘꽃샘나이·봄샘나이’를 엮었어요. 이 낱말은 무엇을 가리킬까요? 바로 ‘사춘기’입니다. 이제 봄처럼 피어나면서 무럭무럭 철이 들 즈음인 나이를 놓고 숱한 어른들은 아이들이 사납거나 날카롭거나 차갑다고들 말해요. 여러모로 보면 ‘사춘기’라는 한자말 이름